중세 일본의 여명, 그 서사시들 속에서

프랑스어에서 번역됨

평화로운 헤이안 시대(794-1185)는 대화재 속에서 막을 내렸다. 희귀한 폭력성을 띤 전투들이 끝날 무렵, 두 경쟁 가문인 타이라와 미나모토는 충분한 군대나 경찰력을 갖추지 못한 궁정 귀족들을 차례로 축출하고 봉건 체제의 도래를 야기했다. 이렇게 일본의 중세가 시작된다. 이 격변의 시기는 “유사한 혼란을 찾으려면 독일 중세를 뒤져봐야 할 정도”였다. 헤이안 시대 여성 문학의 세련됨에 이어, 이제부터는 “암살”, “계략”, “경이로운 무공”, “오랫동안 준비된 복수”로 가득 찬 남성적 이야기들이 등장했다 - “역사가들에게 당혹감과 혼란의 원천”이 된 이야기들이.

손에는 염주, 허리에는 칼

이러한 소란으로부터 ’무사 이야기’(gunki monogatari)가 탄생했는데, 이는 역사 연대기, 민족 서사시, 그리고 깊은 불교적 명상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사실 그들의 기능은 우리가 이해하는 의미에서의 문학적이라기보다는 기억과 영성에 관한 것이었다: 무엇보다도 “전투에서 죽은 무사들의 영혼을 위로하고”, 생존자들에게는 “옛 질서를 끝낸 혼란스러운 사건들에서 의미를 찾는 것”이 중요했다. 이 기능은 일반적으로 맹인인 음유시인들인 ’비와를 든 승려’(biwa hōshi 또는 biwa bōzu)가 담당했다. 우리의 옛 음유시인들과 비슷하게, 그들은 나라를 돌아다니며 노래하는 목소리로 과거의 위업을 낭송했다. 아마도 사원과 수도원의 보호를 받기 위해 승복을 입고, 네 줄짜리 류트인 비와1페르시아 왕국과 그 인접 지역에서 태어난 비와는 실크로드를 따라 동아시아에 퍼졌다. 중국에서 완성된 후, 8세기경 일본 열도에 도달했다”. Hyōdō, Hiromi, “Les moines joueurs de biwa (biwa hōshi) et Le Dit des Heike” (비와 연주 승려들(비와 호시)과 헤이케 이야기) dans Brisset, Claire-Akiko, Brotons, Arnaud et Struve, Daniel (dir.), op. cit.를 연주했는데, 그 화음은 이야기의 우수를 강조했다.

이 예술가들이 스승에서 제자로 전수하던 레퍼토리의 핵심에는, 일본 열도를 새로운 시대로 전환시킨 형제간의 투쟁을 그린 근본적인 삼부작이 있다: 호겐 이야기 (Hōgen monogatari)2거부된 형태:
Récit des troubles de l’ère Hogen (호겐 시대 혼란의 이야기).
La Chronique des Hogen (호겐 연대기).
Récit de l’ère Hōgen (호겐 시대 이야기).
Histoire de la guerre de l’époque Hōgen (호겐 시대 전쟁사).
Hōghen monogatari.
Hōghenn monogatari.
, 헤이지 이야기 (Heiji monogatari)3거부된 형태:
Épopée de la rébellion de Heiji (헤이지 반란의 서사시).
La Chronique des Heigi (헤이기 연대기).
Récit de l’ère Heiji (헤이지 시대 이야기).
Récits de la guerre de l’ère Heiji (헤이지 시대 전쟁 이야기).
Heïdji monogatari.
Heizi monogatari.
, 그리고 가장 유명한 헤이케 이야기 (Heike monogatari)4거부된 형태:
Le Dit des Heikke (헤이케의 이야기).
L’Aventure d’Heike (헤이케의 모험).
Histoire des Heike (헤이케의 역사).
Contes du Heike (헤이케 이야기들).
Contes des Heike (헤이케들의 이야기).
La Chronique des Heiké (헤이케 연대기).
La Chronique de Heiké (헤이케의 연대기).
Chroniques du clan Heike (헤이케 씨족 연대기).
La Geste de la maison des Héï (헤이 가문의 무훈시).
Geste de la famille des Hei (헤이 가족의 무훈시).
Histoire de la famille des Hei (헤이 가족의 역사).
Histoire de la famille Heiké (헤이케 가족의 역사).
Histoire de la maison des Taira (타이라 가문의 역사).
Histoire de la famille des Taïra (타이라 가족의 역사).
Récit de l’histoire des Taira (타이라 역사 이야기).
Roman des Taira (타이라 소설).
La Geste des Taïra (타이라의 무훈시).
Feike no monogatari.
. 처음 두 작품은 타이라와 미나모토가 어떻게 점차 군사력에 침투하여 궁정 사무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획득하게 되었는지를 묘사하는 데 있어 산문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가올 드라마를 준비하고 이미 헤이케 이야기에서 가장 완성된 표현을 찾게 될 ’무상함에 대한 감수성’(mono no aware)을 담고 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물에 비친 달빛만큼의
존재를 가지고 있을 뿐
손바닥에 움켜쥔
물 속에 비친.

Le Dit de Hôgen ; Le Dit de Heiji (호겐 이야기; 헤이지 이야기), 일본어에서 번역: René Sieffert, 파리: Publications orientalistes de France, 1976; 재판 Lagrasse: Verdier, coll. “Verdier poche”, 2007.

운명으로서의 무상함

기념비적인 작품이자 두 가문을 갈라놓고 격렬한 전쟁으로 이어진 내부 투쟁의 진정한 아이네이드헤이케 이야기는 단노우라 전투(1185년 4월 25일)로 절정에 달하지만, 서구 전통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베르길리우스처럼 arma virumque (무기와 인간)로 시작하는 대신, 일본 연대기는 첫 줄부터 “만물의 무상함”을 상기시킨다: “교만한 자는 진정 오래가지 못하니, 봄밤의 꿈과 같을 뿐”. 위대하든 비천하든 모든 인물들은 같은 소용돌이에 휩쓸려, 보쉬에의 표현에 따르면:

이 사람이 너희에게 그토록 위대해 보였던 그 사람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가 올 것이며, 그는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이와 같을 것이며, 아무것도 아닐 것이다. […] 나는 단지 수를 채우러 왔을 뿐이며, 사실 나는 필요하지도 않았다; […] 가까이서 보면, 내가 여기 있는 것이 꿈 같고, 내가 보는 모든 것이 헛된 환영에 불과한 것 같다: Præterit enim figura hujus mundi (이 세상의 모습은 지나가고 있기 때문이다)5고전 7,31 (La Bible : traduction officielle liturgique (성경: 공식 전례 번역))..”

Bossuet, Jacques Bénigne, Œuvres complètes (전집), t. IV, 파리: Lefèvre; Firmin Didot frères, 1836.

따라서 헤이케 이야기는 끊임없는 설교와 같아서, 영웅들의 삶의 모든 변천이 이 무상함의 법칙(mujō)과 인간 영광의 허무함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타이라노 타다노리(1144-1184)의 경우가 이 점에서 모범적이다. 적에게 기습당한 그는 상대를 제압하지만, 그의 하인 중 누군가가 개입하여 그의 오른팔을 팔꿈치에서 잘라버린다. 자신의 최후가 왔음을 알고, 타다노리는 서쪽을 향해 돌아서서 확고한 목소리로 열 번 부처를 부르고 참수당한다. 그의 화살통에서 이 이별의 시가 발견된다:

어둠에 휩쓸려
나는 나무 가지 아래에
머물 것이다.
오직 꽃들만이
오늘 밤 나를 맞이할 것이다.

Hoffmann, Yoel, Poèmes d’adieu japonais : anthologie commentée de poèmes écrits au seuil de la mort (일본의 이별시: 죽음의 문턱에서 쓴 시 주석 선집), 영어에서 번역: Agnès Rozenblum, Malakoff: A. Colin, 2023.

반쪽짜리 후예

가장 피비린내 나는 장면까지 스며든 이러한 불교적 감수성은, 서구 미학에 익숙한 정신에게는 느리고 규칙적이며 단조롭게 보일 수 있는 서사를 고양시키기에 항상 충분하지는 않다. 기온 절의 종소리처럼, 이야기들의 행진은 규칙적이고, 너무 규칙적이며, 다소 단조롭다. 나는 이토록 유명한 이야기들이 영원히 그들을 고정시킬 똑같이 유명한 시인을 찾지 못한 것이 유감이다; 그들에게 영원히 감탄받을 다양성과 유연성을 부여했을 호메로스가 부족했던 것이다.

조르주 부스케가 지적했듯이, 호메로스의 영웅들은 종종 “우리로 하여금 그들의 인간성을 직접 느끼게 하는 이상한 명랑함이나 약점을 가지고 있다; 타이라의 영웅들은 결코 관습적이고 차가운 것을 멈추지 않는다”. 그리스의 순진한 이야기꾼이 항상 말 뒤에 모호하고 미세한 미소를 비치는 반면, “일본 랩소드는 결코 서사적 어조와 딱딱한 태도를 버리지 않는다”. “기쁨에 찬 음유시인의 팽창이 팡파르처럼 울려 퍼지는” 곳에서, “여기서는 황폐한 불교도의 우울한 억양만 들린다: ’용감한 사람도 [역시] 결국 바람 앞의 먼지처럼 무너진다’”.


더 읽어보기

호겐 이야기헤이지 이야기에 대하여

인용문

[…] 그날 밤, 개의 시각쯤, 마침내 그는 사라졌다.

복숭아꽃 같은 그의 얼굴은 아직 봄 안개의 공격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가을 안개에 습격당한 섬세한 난초처럼, 그는 아침 이슬과 함께 사라졌다. 그가 열일곱 번째 해를 맞이했을 때 생각지도 못한 사고가 일어났다. 사람은 진정, 늙든 젊든, 아무것도 확신할 수 없다고들 말했고, 금지된 궁전은 슬픔에 잠겨 있었다.

Le Dit de Hôgen ; Le Dit de Heiji (호겐 이야기; 헤이지 이야기), 일본어에서 번역: René Sieffert, 파리: Publications orientalistes de France, 1976; 재판 Lagrasse: Verdier, coll. “Verdier poche”, 2007.

헤이케 이야기에 대하여

인용문

祇園精舎の鐘の声、諸行無常の響きあり。娑羅双樹の花の色、盛者必衰の理をあらはす。驕れる人も久しからず、ただ春の夜の夢のごとし。猛き者もつひにはほろびぬ、ひとへに風の前の塵に同じ。

平家物語 Wikibooks 日本語 온라인, 2025년 9월 26일 접속.

기온 수도원의 종소리는 만물의 무상함의 울림이다. 사라 나무들6산스크리트어로 sāla (साल) 또는 śāla (शाल). 인도의 열대 및 아히말라야 지역의 나무. 불교에서 신성시되는데, 불교의 발상지가 바로 이 지역이기 때문이다: 마야가 미래의 부처를 낳을 때 sāla에 기대었고, 부처가 열반에 들 때도 두 그루의 이 나무 사이에서였다고 한다.의 꽃 색깔은 번영하는 모든 것이 필연적으로 쇠퇴함을 보여준다. 교만한 자는 진정 오래가지 못하니, 봄밤의 꿈과 똑같다. 용감한 사람도 마찬가지로 결국 무너지니 바람 앞의 먼지와 다름없다.

Le Dit des Heiké (헤이케 이야기), 일본어에서 번역: René Sieffert, 파리: Publications orientalistes de France, 1976; 재판 Lagrasse: Verdier, coll. “Verdier poche”, 2012.

기온 사원의 종소리가 울려 퍼지며 반복한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불안정하다. 티크 꽃의 광채는 가장 번성한 자들이 필연적으로 파멸로 간다고 선언한다. 교만한 자들은 오래 지속되지 않으며 그들의 삶은 봄밤의 꿈에 불과하다. 용감한 전사들도 결국 쓰러지니, 바람에 노출된 불꽃과 같다.’

Épisodes du Heikē monogatari (헤이케 모노가타리 에피소드), 일본어에서 번역: Gotō Sueo et Maurice Prunier, 서문: Sylvain Lévi, 파리: E. Leroux, 1930.

기온쇼자의 종소리는 사물의 무상함의 메아리 같다. 티크 꽃의 색조는 꽃피는 자들이 낮아져야 함을 보여준다. 진실로, 교만한 자들의 권력은 잠시만 지속되니, 봄 저녁의 몽상과 같다. 위대한 자들은 결국 파괴되니, 그들은 바람에 쓸린 먼지에 불과하다.

Katō, Genchi, Le Shintō : religion nationale du Japon (신토: 일본의 국가 종교), 일본어에서 번역: 도쿄 프랑스-일본 회관, 파리: P. Geuthner, 1931.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불안정하다고, 성스러운 사원의 종소리가 떨리며 말한다. 가장 번성한 자들이 필연적으로 파멸로 간다고, sāla 꽃의 광채가 선언한다. 강력하고 교만한 자들은 오래 지속되지 않으며, 그들의 삶은 봄밤의 꿈에 불과하다. 용감한 전사들은 결국 멸망하니, 바람에 노출된 불꽃과 같다.

Satō, Teruo, “Le pathétique dans la Chanson de Roland et dans le Heike-monogatari : essai de comparaison thématique” (롤랑의 노래와 헤이케 모노가타리의 비애: 주제 비교 시론), Boletín de la Real Academia de Buenas Letras de Barcelona, vol. 31, 1966, p. 273-279. (RACO (Revistes Catalanes amb Accés Obert)).

기온 사원의 종소리가 인간의 변천의 메아리라면, 두 사라 나무의 꽃들의 일시적인 광채는 모든 번영에는 쇠퇴가 있음을 보여준다. 교만한 자들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그들의 삶은 여름밤의 꿈과 같다. 전사들도 결국 쓰러진다; 그들은 바람에 노출된 등불과 닮았다.

Heike monogatari : récits de l’histoire du Japon au 12e siècle (헤이케 모노가타리: 12세기 일본 역사 이야기), 일본어에서 번역: François Auguste Turrettini, 제네바: H. Georg; 파리: E. Leroux; 런던: Trübner and Co, 1873-1875.

기온 사원의 종소리가 인간 변천의 메아리라면, 나무 꽃들의 일시적인 광채는 모든 번영에는 쇠퇴가 있음을 보여준다. 교만한 자들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그들의 삶은 여름밤의 꿈과 같다. 전사들도 결국 쓰러진다; 그들은 바람에 노출된 등불과 닮았다.

Bousquet, Georges, “Le Japon littéraire” (문학적 일본), Revue des Deux Mondes, 1878년 10월.

기온의 종소리는 만물의 무상함의 메아리를 전한다. 티크 꽃의 뉘앙스는 피는 것들은 시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다, 용사들은 잠시만 그럴 뿐이니, 봄 저녁의 꿈과 같다. 강한 자들은 결국 파괴되니, 그들은 바람 아래 먼지와 같다.

Habersetzer, Gabrielle et Habersetzer, Roland, “Heike-monogatari” dans Encyclopédie des arts martiaux de l’Extrême-Orient (극동 무술 백과사전), 파리: Amphora, 2000.

기온 수도원에서 / 종이 속삭인다 // 이 세상의 모든 행위는 / 허무할 뿐이라고. // 그리고 사라 나무의 / 꽃 색깔은 // 모든 살아있는 것들이 / 항상 죽음을 맞이할 운명임을 보여준다. [공백]

“Heike monogatari” dans Encyclopédie de la littérature [Garzanti] (문학 백과사전 [가르잔티]), 이탈리아어에서 번역, 파리: Librairie générale française, 2003.

다운로드

음성 녹음
인쇄 작품

참고문헌

Avatar photo
Yoto Yotov
Articles : 120